경제/산업
인천대학교 이원종 교수 연구팀, 식물 엑소좀 이용 비만 치료제 개발
기사입력: 2024/11/22 [13:01]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인천대학교 이원종교수 연구팀 좌측부터) 이원종 교수, 이정현, 강수진 학생 (사진제공:인천대학교)  ©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식물에서 추출한 엑소좀이 비만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높은 효율과 낮은 부작용을 가진 비만 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수용체 작용제를 기반으로 한 체중 감량 치료제가 출시되었으며, 국내 제약사들도 활발히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기존 약물의 부작용을 보완하고 식욕 억제 중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효과적으로 체중 감량에 의한 항비만 효과를 제공할 새로운 바이오소재 기반 치료제 개발이 절실하다. 

 

이번 인천대학교의 연구팀에서는 식물 유래 엑소좀의 비만 치료 효과를 규명했으며, 이를 통해 차세대 비만 치료제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미가 있다.

 

엑소좀은 생체 활성 물질을 함유한 나노 크기의 지질막 소포체로, 생체적합성과 낮은 면역반응 특성을 갖고 있어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 이원종교수 논문 이미지(사진제공:인천대학교)  © 박상도 기자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시금치에서 정제한 식물 유래 엑소좀을 활용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고지방 식단을 섭취한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 시금치 유래 엑소좀을 경구 투여한 결과, 지방 조직 무게와 체중 증가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했으며 아울러, 주요 장기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금치 유래 엑소좀의 안전성과 치료제 가능성을 동시에 입증하는 중요한 발견이다.

 

연구를 이끈 이원종 교수(생명공학부)는 “이번 연구는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물에서 분리한 엑소좀을 활용해 체중 감량 방식의 비만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 획기적인 성과”라며 “저비용, 고효율의 바이오소재 기반 비만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초석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 ADVANCED THERAPEUTICS에 발표되었으며,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 지원사업과 인천대학교 연구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제1저자로 인천대학교 이정현, 강수진 학생이 참여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rofessor Lee Won-jong's research team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develops obesity treatment using plant exosomes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Research results showing the possibility that exosomes extracted from plants can be used as an obesity treatment have been announced.

 

As the number of obesity patients continues to increase worldwide, interest in developing obesity treatment drugs with high efficacy and low side effects is growing.

 

Recently, weight loss treatment drugs based on glucagon-like peptide receptor agonists have been released, and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also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However,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new biomaterial-based treatments that complement the side effects of existing drugs and provide more effective anti-obesity effects through weight loss, moving away from methods centered on appetite suppression.

 

This research team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has clarified the anti-obesity effect of plant-derived exosomes, suggesting a new possibility as a next-generation anti-obesity treatment.

 

Exosomes are nano-sized lipid membrane vesicles containing bioactive substances, and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treatment due to their biocompatibility and low immun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firmed the anti-obesity effect using plant-derived exosomes purified from spinach.

 

When spinach-derived exosomes were orally administered to an obese mouse model that consumed a high-fat diet,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fat tissue weight and body weight gain was confirmed, and it was also found to not cause toxicity to major organs.

 

This is an important discovery that simultaneously proves the safety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spinach-derived exosomes.

 

Professor Wonjong Lee (Department of Biotechnology), who led the research, said, “This study is a groundbreaking achievement th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exosomes isolated from plants that we consume on a daily basis as a weight-loss treatment for obesity,” and “It has lai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ow-cost, high-efficiency biomaterial-based obesity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ly renowned academic journal ADVANCED THERAPEUTICS and were selected as the cover pap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s mid-career research support project and Incheon National University’s research support project, and Incheon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Jeonghyun Lee and Sujin Kang participated as the first authors.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1/1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