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
aT, 농식품부·농진청과 ‘기후변화 대응방안 공청회’ 개최
농산물 수급안정을 위해 생산·수급관리 틀 전환
기사입력: 2024/11/29 [14:07]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기후변화 대응 농산물 수급안정 방안 공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우측 2번째),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우측 3번째), 농촌진흥청 권재한 청장(좌측 3번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홍문표 사장(좌측 4번째)( 사진제공: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가 29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농업 분야 기관, 단체, 학계, 기업 등 관계자 140여 명을 초청해 ‘기후변화 대응 농산물 수급안정 방안 공청회’를 개최했다.

 

aT에 따르면, 이번 공청회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의 주최로 국회에서 열렸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를 함께 인식하고 적극 대응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됐다.

 

공청회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산물의 선제적 수급관리 방안에 대한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발제는 총 4건으로, 원예작물 신품종의 新생산·소비경로 구축방안(박정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부장), CA 저장기술 활용 농산물 장기 보관방안(손재용 국립농업과학원 과장), 스마트팜 확산을 통한 농업 혁신방안(이명훈 국립순천대학교 교수), 5곡(쌀·밀·콩·보리·옥수수) 중심 식량작물 육성방안(황재현 동국대학교 교수)이었다.

 

이어 진행된 지정토론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신품종 개발과 육성지원 연계의 필요성(전병태 농어촌미래포럼 회장), 농산물 보관의 CA 저장기술 도입사례(허장행 농협경제지주 국장), 안정적 식재료 수급을 위한 스마트팜 확산 필요성(이강권 삼성웰스토리 부사장), 카길 사례를 통한 식량작물 육성 및 자급률 제고 방안(이보균 순천대학교 석좌교수) 등 각 분야의 생생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또한, 정부에서 마련 중인 기후변화에 대응한 수급안정 정책 방향(신우식 농식품부 과장), 생산지원·비축역량 제고·식량무기화 대응·통계농업 등 aT의 추진계획(문인철 aT 수급이사)에 대해서도 토론을 통해 두루 공유됐다.

 

발제자, 토론자, 참석자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농산물 수급 불안은 비단 농업계의 문제가 아닌 관련 산업, 국민 개개인의 삶까지 미치는 영향이 크며, 함께 방안을 모색하고 대응해야 함에 입을 모았다.

 

홍문표 aT 사장은 “인류가 당면한 기후 위기를 계기로 농업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농어촌·농어민(축산)이 잘사는 강한 대한민국으로 가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야 할 때”라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생산·수급의 틀 전환을 통한 도약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old ‘Public Hearing on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Transforming the production and supply management framework for stable supply and demand of agricultural products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hereinafter aT) held a ‘Public Hearing on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for Stabilizing Supply and Demand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first small conference room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Hall on the 29th, inviting approximately 140 people from agricultural organizations, groups, academia, and companies.

 

According to aT, this public hearing was held at the National Assembly hosted by Assemblyman Kim Seon-gyo of the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 Oceans and Fisheries Committee, and served as a forum for discussion on recognizing the crisis caused by climate change together and actively responding to it.

 

The public hearing was held with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on preemptive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measures for agricultural product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re were four presentations in total: New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hway Construction Measures for New Varieties of Horticultural Crops (Director Park Jeong-gwa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Long-term Storage Measures for Agricultural Products Using CA Storage Technology (Director Son Jae-yo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gricultural Innovation Measures through the Expansion of Smart Farms (Professor Lee Myeong-hun,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and Food Crop Cultivation Measures Focusing on Five Grains (Rice, Wheat, Soybeans, Barley, and Corn) (Professor Hwang Jae-hyeon, Dongguk University).

 

In the designated discussion that followed, we were able to hear vivid opinions from various fields, such as the need for new variety development and support for breeding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Jeon Byeong-tae, Chairman of the Rural Future Forum), the introduction of CA storage technology for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Heo Jang-haeng, Director of Nonghyup Economic Holdings), the need for expanding smart farms for stable food supply (Lee Kang-kwon, Vice President of Samsung Welstory), and the plan to foster food crops and increase self-sufficiency through the Cargill case (Lee Bo-gyun, Professor Emeritus at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supply and demand stabilization polic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in Woo-sik, Director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aT promotion plan for production support, enhancement of stockpiling capacity, response to food weaponization, and statistical agriculture (Moon In-cheol, aT Supply and Demand Director) were also shared through discussion.

 

The presenters, discussants, and participants agreed that the instability in agricultural product supply due to climate change is not just a problem for the agricultural sector, bu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lated industries and the lives of individual citizens, and that we must seek solutions and respond together.

 

Hong Moon-pyo, CEO of aT, said, “The climate crisis facing humanity should be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and use it as an opportunity to turn the tables and build a strong Republic of Korea where rural areas and farmers and fishermen (livestock) prosper.” He added, “I hope that everyone will join us in making this an opportunity to make a leap forward by transforming the framework for production and suppl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1/1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