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부평구, 일제 조병창 유물 문화재 등록 가시화
강제동원 및 노동자 거주지 영단주택 변천사 연구 기대
기사입력: 2022/08/12 [13:40]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부평구 부평역사박물관이 소장한 일제강점기 인천육군조병창과 산곡동 영단주택 유물의 문화재 등록이 가시화되고 있다.


부평구에 따르면 인천시는 최근 부평구가 신청한 조병창과 영단주택 유물의 가치를 인정해 ‘등록문화재 등록 예고’를 공고했다.


인천시는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친 후 인천시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문화재 등록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앞서 부평구는 부평역사박물관이 소장 중인 조병창 관련 유물 7건 10점과 산곡동 영단주택 관련 유물 3건 3점을 지역사적 의미와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인천시에 등록문화재 지정을 신청했다.


인천시의 등록문화재 지정이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일제강점기 조병창의 강제동원 실상이나 조병창 노동자들의 거주지였던 영단주택의 변천사를 보다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구는 기대하고 있다.


◇ 남한 최대의 군수기지, 부평


인천육군조병창은 1941년 일본이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군수 물자 보급을 위해 부평에 만든 대규모 무기제조 공장이다.


일본이 한반도에 유일하게 건설한 조병창으로, 부평에는 조병창 본부와 제1제조소가 세워졌으며 평양에 있던 병기제조소를 제2제조소로 예하에 뒀다.


1940년대 초반, 조병창이 들어선 부평은 ‘남선(南鮮) 최대의 군수 공장’이라 평가받았다.


조병창뿐 아니라 조병창의 하청공장들이 조병창 주위로 속속들이 들어섰기 때문이었다.


◇ 왜 부평에 조병창이 들어섰나?


부평은 일본 육군이 부지 확보에 용이한 지역이었고, 아울러 조병창이 들어서기에 적합한 지형적 특징과 교통의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 육군은 기존 사격연습장으로 활동하던 부평연습장 부지 70만 8천 평을 조병창 부지로 수용해 대규모 부지를 신속히 확보할 수 있었으며, 추가로 부평연습장 주변 부지 43만 평을 매수했다. 


이곳은 넓은 평야에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적 특징으로 미군의 공습을 피할 수 있었고, 부평역으로부터 조병창 내부까지 이어지는 철도를 부설해 원료와 생산물을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었다. 서울과 가까워 노동력 확보에도 이점이 있었다.


◇  조병창 운영과 강제동원 관련 유물


이번 ‘일제강점기 인천육군조병창 관련 유물’로 등록 예고된 유물은 ▲조병창 발행 서류 2점 ▲조병창 제조 총검 3점 ▲조병창 제작 군용 탄입대 1점 ▲평양제조소 제작 군용 탄입대 1점 ▲조병창 기능자양성소 수첩 1점 ▲조병창 기능자양성소 훈련생이 쓴 엽서 1점 ▲조병창 기능자양성소 견습공 졸업증서 1점 등이다.


해당 자료들은 조병창의 부지 확보와 운영, 군수품 생산, 강제동원 실태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당시 일본은 철수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군수품들을 폐기해 현재까지 전해지는 자료는 극히 드물다.


특히, 기능자양성소 관련 유물들은 조병창에서 벌어진 강제동원의 실상을 보여주는 역사적인 증거 자료이기에, 학계에서는 앞으로의 관련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조병창 노동자들이 거주하던 영단주택 관련 유물


‘부평 산곡동 영단주택 관련 유물’로 등록 예고된 유물은 ▲산곡동 영단주택 분양계약증서 1점 ▲산곡동 영단주택 토지불하계약서 1점 ▲산곡동 영단주택 등기권리증 1점 등이다.


이번 자료는 조병창 노동자들이 거주하던 산곡동 영단주택이 해방 이후 국가 소유에서 민간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재개발이 예고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산곡동 영단주택의 변천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조선주택영단이 대한주택영단으로 변해가는 과정 속에 기존 주택을 민간에 불하한 증거가 되기에 우리나라 주택사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문화재 등록의 의미


일제강점기 부평은 일제에 의해 군수 기지로 개발되고, 많은 조선인들이 강제 동원돼 노역에 시달렸던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이번 문화재 등록 예고는 부평역사박물관에서 그동안 지역사 연구와 전시물 확보 차원에서 수집해온 유물의 역사적 가치를 시 차원에서 공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화재 등록 신청을 진행한 김영헌 부평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는“박물관에서 그동안 수집한 부평 지역 유물을 시 문화재로 등재하는 일을 추진하게 돼 보람을 느낀다”며 “문화재 등록이 완료되고 더욱 많은 관람객이 박물관을 찾아 지역의 역사를 품은 유물을 관람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차준택 구청장은 “이번 문화재 등록을 통해 지역의 아픈 역사가 미래를 위한 희망의 역사문화 자산으로 자리 잡는 기회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부평만이 지닌 역사문화유산을 발굴하고 보존해 지역의 가치를 높이고 정체성을 바로 세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화재 등록 예고가 된 유물들은 현재 부평역사박물관 2층 부평역사실에서 전시하고 있으며 관람객들은 실물로 확인할 수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upyeong-gu, Japanese arsenal relics and cultural properties registration visible
A study on the history of forced mobilization and changes in Yeongdan housing where workers live
-Break News Incheon Reporter Park Sang-do


The regist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of the Incheon Army Arsena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Yeongdan House in Sangok-dong, which is held by the Bupyeong Museum of History in Bupyeong-gu, has become visible.


According to Bupyeong-gu, the city of Incheon has recently announced the “Notice of Registration of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in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relics of Jo Byeong-chang and Yeongdan House, which Bupyeong-gu applied for.


After a 30-day notice period, Incheon City decides whether to register as a cultural property through deliberation by the Incheon City Cultural Heritage Committee.


Prior to this, Bupyeong-gu applied for designation as a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to Incheon City, judging that the 7 artifacts and 10 artifacts related to the Jo Byeongchang and 3 artifacts related to the Yeongdan House in Sangok-dong possessed by the Bupyeong History Museum had loc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ultural value.


The city expects that if Incheon City's designation as a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is completed smoothly,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reality of the forced mobilization of the arsena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history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Yeongdan House, which was the residence of the arsenal workers.


◇ South Korea's largest military base, Bupyeong


Incheon Army Arsenal is a large-scale weapons manufacturing plant built by Japan in Bupyeong in 1941 to supply military supplies for the Asia-Pacific War.


As the only arsenal built by Japa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arsenal headquarters and the first factory were established in Bupyeong, and the weapons factory in Pyongyang was subordinated to the second factory.


In the early 1940s, Bupyeong, where Jo Byeong-chang was located, was evaluated as “the largest munitions factory in Namseon.”


This was because not only the arsenal, but also the subcontractor factories of the arsenal were built one after another around the arsenal.


◇ Why did Jo Byeong-chang enter Bupyeong?


Bupyeong was an area that was easy for the Japanese army to secure a site, and also had the advantage of topographical features and transportation suitable for an arsenal.


The Japanese Army was able to quickly secure a large-scale site by accommodating 708,000 pyeong of the Bupyeong Range, which used to be a shooting practice range, as an arsenal site.


Due to the geographical feature of this area being surrounded by mountains on a wide plain, it was possible to avoid US airstrikes, and by laying the railway from Bupyeong Station to the inside of the arsenal, raw materials and products could be transported effectively. Being close to Seoul also had an advantage in securing a workforce.


◇ Relic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rsenal and forced mobilization


The relics that are expected to be registered as 'relics related to the Incheon Army arsena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 2 pieces of documents issued by the arsenal ▲ 3 points of bayonet manufactured by the arsenal ▲ 1 point of the military ammunition unit manufactured by the arsenal ▲ 1 point of the military ammunition unit manufactured by the Pyongyang factory ▲ The arsenal crafts training center notebook 1 Points ▲ 1 piece of postcard written by a trainee at the Jo Byeong-chang Skilled Training Center ▲ 1 point of a diploma for apprenticeship at the Jo Byeong-chang Skilled Training Center.


These data are important data that can confirm the actual situation of securing and operating the arsenal's site, production of munitions, and forced mobilization.


At that time, Japan discarded most of its munitions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so there are very few data handed down to this day.


In particular, the relics related to the training center for craftsmen are historical evidence that shows the reality of forced mobilization at the arsenal, so it is expected that the academia will be of great help in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 Relics related to Yeongdan housing where Jo Byeong-chang workers lived


The relics predicted to be registered as 'Relics related to Yeongdan housing in Sangok-dong, Bupyeong' are ▲ 1 point of sales contract for Yeongdan housing in Sangok-dong, 1 point of land purchase contract at Yeongdan housing in Sangok-dong, and 1 point of certificate of registration right to Yeongdan housing in Sangok-dong.


This data is an important data for examining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state-owned to the private sector after liberation in Sangok-dong Yeongdan House, where Jo Byeong-chang workers lived.


It can be said to be a valuable material that can support the history of the transformation of Yeongdan House in Sangok-dong, which will disappear as a part of history as redevelopment is foretol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the study of Korean housing history as it will be evidence of selling existing houses to the private sector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hosun Housing Authority, the predecessor of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to the Korea Housing Authority. .


◇ Meaning of cultural property registr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pyeong was developed as a military bas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many Koreans were forcibly mobilized and had a painful history.


This notice of registration as a cultural property can be said to be the city's official recognition of the historical value of the relics that the Bupyeong Museum of History has been collecting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local history and securing exhibits.


Kim Young-heon, curator of the Bupyeong History Museum, who applied for the regist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said, “It is rewarding to promote the registration of the relics of the Bupyeong area that the museum has collected over the years as a city cultural property. We hope that you will visit and see the relics that embrace the history of the region.”


Mayor Cha Jun-taek said, “Through this registration as a cultural property, we will try our best to turn the painful history of the region into a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 of hope for the future. We will do our best to make it right.”


Meanwhile, the relics that have been announced for registration as cultural properties are currently on display in the Bupyeong History Room on the 2nd floor of the Bupyeong Museum of History, and visitors can check them in real life.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부평구, 부평역사박물관,일제 조병창 유물 문화재 등록, 일제강점기 인천육군조병창과 산곡동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