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조경제혁신센터 10년간 주요 성과 변화 © 박상도 기자
|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21일 대구 중앙컨벤션센터에서 중기부 장관, 삼성·현대차·SK·LG 등 15개 대기업 임원, 17개 시·도 및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임직원 등 2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창조경제혁신센터 10주년 기념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혁신센터’)는 2014년 9월 대구를 시작으로 2015년 서울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설립된 지역창업전담기관으로 민간 자율형 센터를 포함하여 총 19개가 운영중이다.
전국 혁신센터는 해마다 5천여 개사 이상의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모두가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로 등록되어 있다.
혁신센터는 설립 이후 지난 10년동안 56개 스타트업의 기업공개(IPO) 또는 인수합병을 성공시켰다.
아울러 2023년 CES에서는 혁신센터가 육성한 스타트업 87개사가 혁신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고, 스타트업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창업 지원기관 중 하나로 혁신센터가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10주년 기념행사에서는 ‘창조경제혁신센터 발전 로드맵’도 함께 발표됐다.
로드맵은 지역 창업생태계 양극화 해소를 위해 더 깊게(Deeper), 더 폭넓게(Broader), 더 지역에 가깝게(Closer) 라는 혁신센터의 3대 정책방향을 담고 있다.
○ 더 깊게(Deeper) : 스케일업·공공투자 기능을 강화
스타트업의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최대 1억 원에서 2억 원까지 지원하는 예비·초기·도약 창업패키지 사업을 비수도권 센터를 중심으로 통합 지원한다.
지역 창업생태계 맞춤형으로 센터가 창업패키지를 자율 설정하고, 지역의 스타트업에게 특화된 프로그램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연중 상시·정례적으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가능성 있는 기업은 혁신센터가 직·간접 투자 등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연초에 지원사업이 몰리고 하반기에는 지원받기 어려운 창업 지원사업 구조를 보완할 계획이다.
아울러 혁신센터가 스타트업에게 빠르고 간편한 자금조달이 가능한 조건부지분인수계약(SAFE) 투자에 집중함으로써 지역의 공공 액셀러레이터로서 역할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중기부는 모태펀드가 출자하는 별도 펀드 신설도 추가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혁신센터를 프리팁스(Pre-TIPS) 전담기관으로 지정하여 지역 스타트업이 투자를 통한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 더 폭넓게(Broader) : 개방형혁신 허브로 외연 확대
혁신센터는 지난 10여 년간 축적해 온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등과의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전국 단위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딥테크 특화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선도 대기업과 유망 스타트업 간 실질적 협력을 통한 상호 이익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밸류업 프로그램의 경우 대기업이 협업 스타트업에 투자할 경우 모태펀드가 1:1로 매칭 투자하는 밸류업 전용펀드도 새로이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민간의 자본이 스타트업에게 유입되는 것을 촉진하고, 스타트업이 투자를 통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향후 혁신센터 인프라 확충 시 파트너 대기업, CVC 등이 입주할 수 있는 공간도 병행 조성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혁신센터 공간 내에서 스타트업과 대·중견기업간 상시적 연결과 협업을 유도한다.
○ 더 가깝게(Closer) : 지역창업 네트워크 주도
글로벌 평가 등에서 우리나라 스타트업 생태계는 비교적 높은 순위에 있으나 도시 간 격차는 상당하다. 서울 중심으로 창업생태계가 형성되어 있어 창업생태계가 발달한 도시가 해외 주요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혁신센터는 전국 지역별 주요 거점에 자리잡고 있는 강점을 활용하여 지역의 창업생태계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센터가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는 신산업 분야를 지역 산업과 연계하여 선정하고 해당 분야를 집중 육성한다.
예를 들어 충남센터의 경우 지역의 기후테크 산업 분야와 연계하여 해당 분야 스타트업을 특화하여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방중소벤처기업청과 협력하여 지역 맞춤형 창업정책을 기획·제안하고, 지역별 창업생태계 조사·분석 등을 실시하여 지역창업 활성화 정책의 수립 기반을 마련·제공할 계획이다.
그 외에도 혁신센터의 3대 핵심기능인 창업, 투자, 개방형혁신 중심으로 조직을 대폭 조정하고, 지역창업전담기관으로서 혁신센터의 역할과 기능, 근거 등을 마련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오영주 장관은 “지난 10년간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척박했던 지역의 창업 생태계를 파트너 대기업, 지자체, 유관기관 등과 함께 한 단계 끌어올렸다”며, “다만 양극화된 지역의 창업생태계 환경 극복을 위해 혁신센터가 지역의 대표 벤처빌더로서 스타트업에게 가장 친밀한 기관이자 도움을 주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comprehension.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s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Development Roadmap'
In order to resolve the polarization of regional startup ecosystems, it contains the three major policy directions of the Innovation Center: 'Deeper, Broader, Closer to the Region'..,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that it held the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10th Anniversary Commemoration Event' at the Daegu Central Convention Center on the 21st, with approximately 200 people in attendance, including the Minister of SMEs and Startups, executives of 15 large corporations including Samsung, Hyundai Motors, SK, and LG, and employees of 17 cities and provinces and the National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The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novation Center”) is a regional startup organization established in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starting with Daegu in September 2014 and ending in Seoul in 2015. A total of 19 centers, including private autonomous centers, are currently in operation.
The Innovation Centers nationwide foster more than 5,000 startups every year, and all of them are registered as startup planners (accelerators).
Since its establishment, the Innovation Center has successfully completed the initial public offering (IPO) or M&A of 56 startups over the past 10 years.
In addition, at the 2023 CES, 87 startups fostered by the Innovation Center won the Innovation Award, and the Innovation Center was selected as one of the startup support organizations that comes to mind first for startups.
The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Development Roadmap” was also announced at this 10th anniversary event.
The roadmap contains the three policy directions of the Innovation Center: Deeper, Broader, and Closer to the Region to resolve the polarization of the regional startup ecosystem.
○ Deeper: Strengthening the scale-up and public investment functions
In order to support the commercialization of startups, the preliminary, early-stage, and leap startup package projects that provide up to 100 million to 200 million won will be integrated and supported centered on non-metropolitan centers.
The centers will set their own startup packages tailored to the regional startup ecosystem and support local startups with specialized programs.
Startups will be discovered regularly throughout the year, and companies with potential will be helped to grow rapidly through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s by the Innovation Center.
Through this, the plan is to supplement the startup support project structure, where support projects are concentrated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and difficult to receive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In addition, the Innovation Center will strengthen its role as a local public accelerator by focusing on conditional equity acquisition agreement (SAFE) investment that enables quick and easy financing for startups.
To this end,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as decided to additionally review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fund in which the mother fund will invest.
In addition, the Innovation Center plans to designate itself as a Pre-TIPS dedicated organization to support stable growth of local startups through investment.
○ Broader: Expanding the scope as an open innovation hub
The Innovation Center plans to activate nationwide open innovation programs based on the networking with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public institutions, etc. that it has accumulated over the past 10 years.
In addition, it has decided to actively support mutual benefits through practical cooperation between leading large companies and promising startups through a deep-tech specialized value-up progra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value-up program, the mother fund plans to newly establish a value-up-only fund in which large companies will make 1:1 matching investments in collaborative startups.
This will facilitate the inflow of private capital into startups and support startups to grow rapidly through investment.
In addition, when expanding the innovation center infrastructure in the future, we will also create a space where partner large corporations, CVCs, etc. can move in.
This will induce constant connec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startups and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within the innovation center space.
○ Closer: Leading the regional startup network
Although Korea's startup ecosystem ranks relatively high in global evaluations,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ities. Since the startup ecosystem is centered around Seoul, there are relatively few cities with developed startup ecosystems compared to major countries overseas.
The innovation center plans to improve the local startup ecosystem environment by utilizing its strengths of being located in major regional hubs across the country.
The center will select new industries that it can best support in connection with local industries and intensively foster those industries.
For example, the Chungnam Center plans to focus on fostering startups in that field by linking them with the local climate tech industry.
In addition, we plan to cooperate with the local SMEs and Startups Agency to plan and propose customized startup policies for each region, conduct surveys and analyses of startup ecosystems by region, and establish and provide a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vitalize local startups.
In addition, we decided to drastically reorganize the organization around the three core functions of the Innovation Center: startups, investment, and open innovation, and to promote revisions to related laws so that we can establish the role, function, and basis of the Innovation Center as a specialized local startup organization.
Minister Oh Young-joo said, “Over the past 10 years, the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has taken the previously impoverished local startup ecosystem to the next level with partner large corporations,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asked,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the polarized local startup ecosystem environment, we ask that you make efforts so that the Innovation Center can establish itself as the most intimate and helpful organization for startups as a representative venture builder in the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