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행정
경인지방통계청, 2024 수도권 광역지표 발표
2023년 인구성장지수, 수도권 고용률 전국 보다 높고 수도권 창업기업 전국 낮아..,
기사입력: 2024/11/27 [11:38]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2024수도권광역지표 (사진제공:경인지방통계청)  ©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경인지방통계청이 27일, 2024 수도권 광역지표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경쟁력 지표 자원에서 인적자원를 보면, 인구성장지수는  2023년 수도권 인구성장지수는 118.1로 전국 인구성장지수 108.8보다 높았다.

 

2023년 수도권 인구성장지수는 118.1로 지난 5년간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이는 반면, 전국(108.8)은 완만한 감소 추세로 나타났다.  

 

권역별로는 제주권(128.7), 충청권(118.2), 수도권(118.1) 순으로 높고, 호남권(93.4), 대경권(93.7), 동남권(97.9) 순으로 낮았다.

 

물적자원에서 국토계수당 도로연장를 보면, 2023년 수도권 국토계수당 도로연장은 1.58로 타 권역보다 낮았다.

 

2023년 수도권 국토계수당 도로연장은 1.58로 전국(1.61)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전년 대비 0.06 증가하여 전국과 차이가 줄어들었다.

 

권역별로는 제주권(2.90), 호남권(2.09), 동남권(2.00) 순으로 높고, 수도권(1.58), 대경권(1.70), 충청권(1.80) 순으로 낮았다.

 

역량에서 제도적 역량를 보면, 공공기관 청렴도는 2023년 수도권 공공기관 청렴도는 7.89점으로 동남권 다음으로 가장 높았다.

 

2023년 수도권 공공기관 청렴도 점수는 10점 만점 중 7.89점으로 전국(7.81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전년 대비 0.02점 하락했다.

 

권역별로는 동남권(7.91점), 수도권(7.89점), 제주권(7.83점) 순으로 높고, 강원권(7.45점), 호남권(7.76점) 순으로 낮았다.

 

창업기업 증감률를 보면, 2023년 수도권 창업기업 증감률은 7.44% 감소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2023년 수도권 창업기업 증감률은 전년 대비 2.51%p 상승한 –7.44%로 나타났다.

 

권역별로는 호남권(0.97%)을 제외한 권역에서 모두 감소했며, 수도권(-7.44%), 강원권(-7.15%), 동남권(-7.05%) 순으로 낮았다.

 

인구 백만 명당 특허 출원 건수를 보면, 2023년수도권 인구 백만 명당 특허 출원 건수는 4,745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음

 

2023년 수도권 인구 백만 명당 특허 출원 건수는 4,745건으로 전년 대비 3.0% 소폭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4,745건), 충청권(4,374건) 순으로 많고, 제주권(1,691건), 동남권(1,995건), 강원권(1,999건) 순으로 적었다.

 

번영에서 생할수준를 보면, 고용률은 2023년 수도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은 62.8%로 전국 62.6%보다 높았다.

 

2023년 수도권 고용률은 62.8%로 전년 대비 0.3%p 소폭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제주권(69.2%), 충청권(64.1%) 순으로 높고, 동남권(59.8%), 대경권(61.7%), 수도권(62.8%) 순으로 낮았다.

 

매력에서 경제적 기회를 보면, 인구 순유입률은 2023년 수도권 인구 순유입률은 0.18%로 충청권에 이어 순유입으로 나타났다.

 

2023년 수도권 인구 순유입률은 0.18%로 전년 대비 0.04%p 증가했다.

 

2023년 인구가 유입된 권역은 충청권(0.34%), 수도권(0.18%)이며, 인구가 유출된 권역은 동남권(-0.44%), 호남권(-0.31%), 대경권(-0.27%), 제주권(-0.25%), 강원권(-0.09%)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기회를 보면, 유학생 수는 2023년 수도권 외국인 유학생은 84,475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2023년 수도권 외국인 유학생 수는 84,475명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84,475명)이 가장 많고, 제주권(1,024명), 강원권(4,061명) 순으로 적었다.

 

생활에서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보면, 초미세먼지 대기오염도는 2023년 수도권 초미세먼지 대기오염도는 20.6㎍/㎥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2023년 수도권 초미세먼지 대기오염도는 20.6㎍/㎥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20.6㎍/㎥), 충청권(20.1㎍/㎥), 대경권(18.0㎍/㎥) 순으로 높고, 제주권(13.6㎍/㎥), 강원권(15.5㎍/㎥) 순으로 낮았다.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는 2023년 수도권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는 3.50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2023년 수도권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는 3.50명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3.50명), 호남권(3.19명), 동남권(3.06명) 순으로 많고, 제주권(2.67명), 강원권(2.68명) 순으로 적었다.

 

발전 지표 기초역량과 여건에서  주거/교통를 보면, 공동주택 건설 분양실적은 2023년 수도권 공동주택 건설 분양실적은 전국의 약 60%인 11만 4천 호이다.

 

2023년 1~12월 누계 기준 수도권 공동주택 건설 분양실적은 11만 4천 호로 전국(19만 2천 호)의 59.4%이며, 전년 대비 16.2%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경기(7만 3천 호), 서울(2만 4천 호), 인천(1만 7천 호) 순이며, 전년 대비 경기는 18.0%, 인천은 26.1% 감소했다.

 

고등교육이수자 비율은 2023년 수도권 고등교육이수자 비율은 55.1%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2023년 수도권 고등교육이수자 비율은 55.1%로 전국(50.5%)보다 4.6%p 높고, 전년 대비 1.7%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서울(62.6%), 경기(52.4%), 인천(43.5%)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은 1.8%p, 경기는 1.6%p, 인천은 1.7%p 모두 증가했다.

 

교원당 학생 수는 2024년 수도권 교원당 학생 수는 14.6명으로 감소세가 지속됐다.

 

2024년 수도권 교원당 학생 수는 14.6명으로 전국(13.9명)보다 0.7명 많고, 전년 대비 1.4%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서울(15.0명), 경기(14.4명), 인천(14.3명) 순이며, 전년 대비  경기는 3.4% 감소하고, 서울과 인천은 전년과 동일했다.

 

인구/건강를 보면, 합계출산율은 2023년 수도권 합계출산율은 0.669명으로 감소세가 지속됐다.

 

2023년 수도권 합계출산율은 0.669명으로 전국(0.721명)보다 0.052명 낮고, 전년 대비 0.058명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경기(0.766명), 인천(0.694명), 서울(0.552명) 순이며, 전년 대비 경기는 0.073명, 인천은 0.053명, 서울은 0.041명 모두 감소했다.

 

인구 증가율은 2023년 수도권의 인구 증가율은 2022년 대비 0.34%p 증가했다.

 

2023년 수도권 인구 증가율은 0.35%로 전국(0.09%)보다 0.26%p 높고, 전년 대비 0.34%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인천(1.29%), 경기(0.60%), 서울(-0.30%) 순이며, 전년 대비 인천은 0.48%p, 경기는 0.27%p, 서울은 0.40%p 모두 증가했다.

 

고령인구 비율은 2023년 수도권 고령인구 비율은 16.7%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2023년 수도권 고령인구 비율은 16.7%로 전국(19.0%)보다 2.3%p 낮고, 전년 대비 0.9%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서울(18.5%), 인천(16.6%), 경기(15.6%)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과 경기는 0.9%p, 인천은 1.0%p 모두 증가했다.

 

인구 부양비는 2023년 수도권 인구 부양비는 38.1%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2023년 수도권 인구 부양비는 38.1%로 전국(42.4%)보다 4.3%p 낮고, 전년 대비 0.9%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인천(38.3%), 경기(38.1%), 서울(38.0%) 순이며, 전년 대비 인천은 1.1%p, 경기는 0.8%p, 서울은 0.9%p 모두 증가했다.

 

경제적 성과에서 성장/혁신를 보면, 창업기업 수는 2023년 수도권 창업기업 수는 67만 9천 개로 2020년 이후 감소세가 지속됐다.

 

2023년 수도권 창업기업 수는 67만 9천 개로 전국(123만 9천 개)의 54.8%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7.4%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경기(37만 개), 서울(23만 개), 인천(7만 9천 개) 순이며, 전년 대비 경기는 7.3%, 서울은 7.6%, 인천은 7.1% 모두 감소했다.

 

경제적 성과에서 일 를 보면, 근로여건 만족도는 2023년 현 직장 근로여건에 만족한다는 비율은 수도권 34.4%이다.

 

2023년 수도권 근로여건 만족도는 34.4%로 전국(35.1%)보다 0.7%p 낮으며, ’21년 대비 0.2%p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서울(36.2%), 경기(34.0%), 인천(30.5%) 순이며, 2021년 대비 서울은 1.9%p 증가한 반면, 경기는 1.2%p, 인천은 2.9%p 감소했다.

 

지속가능성에서 환경를 보면, 인구 천 명당 도시공원 조성면적은 2023년 수도권 인구 천 명당 도시공원 조성면적은 9.1천 m2 이다. 

   

2023년 수도권 인구 천 명당 도시공원 조성면적은 9.1천 m2로 전국(12.6천 m2)보다 3.5천 m2 적으며,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인천(14.1천 m2), 경기(11.2천 m2), 서울(4.6천 m2) 순이며, 전년 대비 인천은 3.7% 증가한 반면, 서울은 2.1% 감소했다.

 

생활 지표 내면세계에서 주관적 웰빙을 보면, 삶의 만족도는 2023년 수도권 주민의 41.3%는 현재 삶에 대해 만족, 2022년 대비 1.2%p 감소했다.

 

2023년 수도권 주민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41.3%로 전국(42.2%)보다 0.9%p 낮으며, 전년 대비 1.2%p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서울(41.8%), 경기(41.3%), 인천(39.8%)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은 1.4%p, 경기는 1.3%p 감소한 반면, 인천은 0.4%p 증가했다.

 

개인생활에서 건강를 보면, 인구 십만 명당 자살률은 2023년 수도권 인구 십만 명당 자살률은 ’22년 대비 8.8% 증가한 24.8명이다.

 

2023년 수도권 인구 십만 명당 자살로 인해 사망한 사람의 수는 24.8명으로 전국(27.3명)보다 2.5명 적으며, 전년 대비 8.8%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인천(28.8명), 경기(25.1명), 서울(23.2명) 순이며, 전년 대비 인천은 11.6%, 경기는 8.7%, 서울은 8.4% 모두 증가했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2023년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수도권 27.4%이다. 

  

2023년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수도권이 27.4%로 전국(25.7%)보다 1.7%p 높고, 전년 대비 2.2%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27.7%), 서울(27.1%), 인천(27.0%) 순이며, 전년 대비 경기는 3.1%p, 서울은 1.4%p, 인천은 0.7%p 모두 증가했다.

 

주관적 건강수준은 2023년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수도권 49.8%이다.

 

2023년 주관적으로 자신의 건강수준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수도권 49.8%로 전국(47.6%)보다 2.2%p 높고, 전년 대비 1.8%p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서울(53.7%), 인천·경기(47.4%)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은 0.8%p, 경기는 3.1%p 감소한 반면, 인천은 0.6%p 증가했다.

 

비만 유병률은 2023년 수도권 비만 유병률은 31.6%로 2020년 이후 증가세가 지속됐다.

 

2023년 수도권 비만 유병률은 31.6%로 전국(33.7%)보다 2.1%p 낮으며, 전년 대비 0.3%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인천(34.5%), 경기(33.0%), 서울(28.8%) 순이며, 전년 대비 인천은 1.9%p, 경기는 1.1%p 증가한 반면, 서울은 1.4%p 감소했다.

 

교육/훈련를 보면, 학급당 학생 수는 2024년 수도권 학급당 학생 수는 22.3명으로 2021년 이후 감소세가 지속됐다.

 

2024년 수도권 학급당 학생 수는 22.3명으로 전국(21.1명)보다 1.2명 많으며, 전년 대비 1.8%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경기(22.7명), 인천(22.2명), 서울(21.8명) 순이며, 전년 대비 경기는 2.6% 감소한 반면, 인천은 0.5% 증가했다.

   

1인당 사교육비는 2023년 수도권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51만 2천 원으로 처음으로 50만 원 넘었다. 

 

2023년 수도권 초중고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은 51만 2천 원으로 전국(43만 4천 원)보다 7만 8천 원 많고,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서울(62만 8천 원), 경기(46만 9천 원), 인천(42만 4천 원)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은 5.4%, 경기는 5.2%, 인천은 9.8% 모두 증가했다.

 

개인생활에서 일를 보면, 실업률은 2023년 수도권 실업률은 2.7%로 전국 실업률과 비슷했다.

 

2023년 수도권 실업률은 2.7%로 전국 실업률(2.7%)과 비슷한 수준이며, 전년 대비 0.3%p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인천(3.2%), 서울(2.7%), 경기(2.6%) 순이며, 전년 대비 인천과 경기는 0.1%p, 서울은 0.7%p 모두 감소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2024년 수도권 비정규직 비율은 36.6%로 전국보다 1.6%p 낮았다.

 

2024년 수도권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36.6%로 전국(38.2%)보다 1.6%p 낮으며, 전년 대비 2.2%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인천(39.0%), 서울(38.3%), 경기(34.9%) 순이며, 전년 대비 인천은 2.6%p, 서울은 3.4%p, 경기는 1.4%p 모두 증가했다.

 

소득/소비를 보면, 소비생활 만족도는 2023년 소비생활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율은 수도권 21.9%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2023년 자신의 소비생활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율은 수도권이 21.9%로 전국(21.2%)보다 0.7%p 높으며, 2021년 대비 2.7%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서울(23.5%), 경기(21.3%), 인천(19.6%) 순이며, 2021년 대비 서울은 3.0%p, 경기는 2.7%p, 인천은 1.7%p 모두 증가했다.

 

주관적 소득수준은 2023년 생활비에 비해 소득수준이 여유 있다고 느끼는 비율은 수도권 14.8%이다.

 

2023년 수도권 거주 가구주 중 월평균 가구소득에 여유가 있다고 느끼는 비율은 14.8%로 전국(13.7%)보다 1.1%p 높고, ’21년 대비 2.1%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서울(15.5%), 경기(14.5%), 인천(13.2%) 순이며, 2021년 대비 서울은 2.8%p, 경기는 1.9%p, 인천은 0.2%p 모두 증가했다.

 

문화/여가를 보면, 여가활동 만족도는 2023년 개인 여가활동 만족 비율은 수도권 35.6%로 처음으로 30.0% 넘었다.

 

2023년 수도권 개인 여가활동에 만족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35.6%로 전국(34.3%)보다 1.3%p 높고, ’21년 대비 7.5%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서울(37.5%), 경기(34.9%), 인천(32.9%) 순이며, 2021년 대비 서울은 8.6%p, 경기는 7.1%p, 인천은 6.0%p 모두 증가했다. 

 

주거를 보면, 주택 전세 가격지수는 2023년 수도권 주택 전세 가격지수는 90.2로 2021년 이후 하락세가 지속됐다.

 

2023년 수도권 주택 전세 가격지수는 90.2로 전국(92.5)보다 2.3 낮고, 전년 대비 5.5 하락했다.

  

시도별로는 서울(91.0), 경기(90.2), 인천(88.1)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은 5.0, 경기는 5.7, 인천은 6.1 모두 하락했다.

 

주택 월세 가격지수는 2023년 수도권 주택 월세 가격지수는 105.2로 2020년 이후 상승세가 지속됐다.

 

2023년 수도권 주택 월세 가격지수는 105.2로 전국(104.0)보다 1.2 높고, 전년 대비 1.4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경기(106.0), 인천(104.8), 서울(104.2) 순이며, 전년 대비 경기는 1.3, 인천은 0.6, 서울은 1.8 모두 상승했다.

 

공동생활에서 가족/친밀성를 보면, 공공보육시설 비율은 2023년 수도권 공공보육시설 비율은 2022년 대비 2.9%p 증가한 29.5%이다.  

 

2023년 수도권 공공보육시설 비율은 29.5%로, 전국(30.1%)보다 0.6%p 낮고, 전년 대비 2.9%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서울(48.8%), 인천(26.2%), 경기(20.5%)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은 3.1%p, 인천은 3.6%p, 경기는 2.7%p 모두 증가했다.

 

1인 가구 비율은 2023년 수도권 1인 가구 비율은 34.3%로 전국 35.5%보다 낮았다.   

 

2023년 수도권 1인 가구 비율은 34.3%로 전국(35.5%)보다 1.2%p 낮으며, 전년 대비 0.9%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서울(39.3%), 인천(31.8%), 경기(31.2%)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은 1.1%p, 인천은 0.8%p, 경기는 1.0%p 모두 증가했다.

 

유아 천 명당 보육시설 수는 2023년 수도권 유아 천 명당 보육시설 수는 17.3개소이다.

 

2023년 수도권 유아 천 명당 보육시설 수는 17.3개소로 전국(17.4개소)보다 0.1개소 적으며, 전년 대비 0.6%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17.8개소), 서울(16.8개소), 인천(16.0개소)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 인천, 경기 모두 0.6% 증가했다.

 

조혼인율은 2023년 수도권 조혼인율은 2022년 대비 2.6% 상승한 4.0건이다.

 

2023년 수도권 조혼인율은 4.0건으로 전국(3.8건)보다 0.2건 높으며,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4.0건), 서울·인천(3.9건) 순이며, 전년 대비 서울은 2.6%, 인천은 5.4% 증가했고, 경기는 전년과 동일했다.

 

조이혼율은 2023년 수도권 조이혼율은 2022년과 동일한 수준인 1.7건 이다.

 

2023년 수도권 조이혼율은 1.7건으로 전국(1.8건)보다 0.1건 낮으며, 전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인천(2.1건), 경기(1.8건), 서울(1.3건) 순이며, 전년 대비 인천과 경기는 동일하고, 서울은 7.1% 감소했다.

 

독거노인 비율은  2023년 수도권 독거노인 비율은 19.9%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2023년 수도권 독거노인 비율은 19.9%로 전국(22.5%)보다 2.6%p 낮고, 전년 대비 0.8%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인천(21.1%), 서울(19.9%), 경기(19.6%) 순이며, 전년 대비 인천은 0.5%p, 서울은 0.7%p, 경기는 0.9%p 모두 증가했다.

 

시민사회를 보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는 2023년 수도권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는 105만 2천 명으로 증가세가 둔화됐다.

 

2023년 수도권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는 105만 2천 명으로 전국(251만 명)의 41.9%에 해당하며, 전년 대비 4.7%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46만 1천 명), 서울(42만 1천 명), 인천(17만 1천 명) 순이며, 전년 대비 경기는 6.2%, 서울은 3.2%, 인천은 4.9% 모두 증가했다.

 

자원봉사 참여율은 2023년 수도권 주민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2021년 대비 2.2%p 증가한 9.8% 이다.

 

2023년 수도권 주민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9.8%로 전국(10.6%)보다 0.8%p 낮으며, 2021년 대비 2.2%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10.1%), 서울(9.6%), 인천(8.7%) 순이며, 2021년 대비 경기는 2.3%p, 서울은 2.2%p, 인천은 1.2%p 모두 증가했다.

 

기부율은 2023년 수도권 주민의 4명 중 1명은 현금이나 물품을 기부한 적이 있다.

 

2023년 수도권 주민의 기부율은 25.0%로 전국(23.7%)보다 1.3%p 높으며, 2021년 대비 2.3%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서울(26.5%), 경기(24.3%), 인천(23.1%) 순이며, 2021년 대비 서울은 2.1%p, 경기는 2.5%p, 인천은 1.7%p 증가했다.

 

시민사회단체 참여율은 2023년 수도권 주민의 7.8%가 시민사회단체에 참여, 활동한 적이 있다.

 

2023년 수도권 주민의 시민사회단체 참여율은 7.8%로 전국(8.9%)보다 1.1%p 낮으며, 2021년 대비 0.2%p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인천(8.4%), 경기(8.3%), 서울(7.0%) 순이며, 2021년 대비 서울은 0.6%p 증가한 반면, 인천은 0.2%p 감소했다. 

 

환경에서 안전를 보면,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2023년 수도권의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79,703건으로 전체 교통사고의 약 50% 이다.

 

2023년 수도권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79,703건으로 전국(169,359건)의 47.1%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45,457건), 서울(27,511건), 인천(6,735건) 순이며, 전년 대비 경기는 1.6%, 서울은 2.6%, 인천은 0.4%로 모두 증가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2024 Metropolitan Area Indicator

2023 Population Growth Index, Metropolitan Area Employment Rate Higher than Nationwide, Metropolitan Area Startup Companies Lowest Nationwide..,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Gyeongin Regional Statistics Office announced the 2024 Metropolitan Area Indicator on the 27th.

 

According to the data, in the competitiveness index sector resource, human resources, the population growth index of the 2023 Metropolitan Area Population Growth Index was 118.1, higher than the national population growth index of 108.8.

 

The 2023 Metropolitan Area Population Growth Index was 118.1, showing a gradual increase over the past five years, while the national population growth index (108.8) showed a gradual decrease.

 

By region, Jeju (128.7), Chungcheong (118.2), and Seoul Metropolitan Area (118.1) were high, and Honam (93.4), Daegyeong (93.7), and Southeast (97.9) were low.

 

In terms of road length per land area in material resources, the road length per land area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1.58, which was lower than other regions.

 

The road length per land area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1.58, which wa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1.61), but increased by 0.06 year-on-year, narrowing the gap with the national average.

 

By region, Jeju (2.90), Honam (2.09), and Seoul Metropolitan Area (2.00) were high, and Seoul Metropolitan Area (1.58), Daegyeong (1.70), and Chungcheong (1.80) were low.

 

In terms of institutional capacity, the integrity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the second highest at 7.89 points, following the Southeast region.

 

The integrity score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7.89 points out of 10, which was higher than the entire country (7.81 points), but decreased by 0.02 point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y region, the Southeast region (7.91 points), the metropolitan area (7.89 points), and the Jeju region (7.83 point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the Gangwon region (7.45 points) and the Honam region (7.76 points).

 

Looking at the growth rate of startups, the growth rate of startup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the lowest in the country, with a decrease of 7.44%.

 

The growth rate of startup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7.44%, up 2.51%p from the previous year.

 

By region, all regions except Honam (0.97%) decreased, and the metropolitan area (-7.44%), Gangwon (-7.15%), and Southeast (-7.05%) were the lowest.

 

Looking at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per million people,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per million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4,745, the highest in the country.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per million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4,745, a slight increase of 3.0% from the previous year.

 

By region, the metropolitan area (4,745 cases) and Chungcheong (4,374 cases) had the highest number, followed by Jeju (1,691 cases), Southeast (1,995 cases), and Gangwon (1,999 cases) had the lowest number.

 

In terms of prosperity, the employment rate was 62.8% among the population aged 15 or older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f 62.6%.

 

The employment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62.8%, a slight increase of 0.3%p from the previous year.

 

By region, the Jeju area (69.2%) and Chungcheong area (64.1%) were high, followed by the Southeast area (59.8%), Daegu area (61.7%), and the metropolitan area (62.8%).

 

In terms of economic opportunities in terms of attractiveness, the net population inflow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0.18%, following the Chungcheong area.

 

The net population inflow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0.18%, a 0.04%p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The regions with population inflow in 2023 were Chungcheong (0.34%) and the metropolitan area (0.18%), while the regions with population outflow were the southeastern area (-0.44%), Honam (-0.31%), Daegyeong (-0.27%), Jeju (-0.25%), and Gangwon (-0.09%).

 

In terms of economic opportunitie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84,475, the highest in the country.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84,475, a 12.7%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By region, the metropolitan area (84,475) had the highest number, followed by Jeju (1,024) and Gangwon (4,061).

 

In term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daily life, the fine dust air pollution level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the highest in the country at 20.6㎍/㎥.

 

The fine dust air pollution level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20.6㎍/㎥, up 6.7% from the previous year.

 

By region, the metropolitan area (20.6㎍/㎥), Chungcheong area (20.1㎍/㎥), and Daegyeong area (18.0㎍/㎥)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Jeju area (13.6㎍/㎥) and Gangwon area (15.5㎍/㎥).

 

The number of doctors per 1,000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3.50, the highest in the country.

 

The number of doctors per 1,000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3.50, up 2.6% from the previous year.

 

By region, the metropolitan area (3.50 people), Honam (3.19 people), and Southeast (3.06 people) had the most, followed by Jeju (2.67 people) and Gangwon (2.68 people).

 

Looking at housing/transportation in the development indicator basic capacity and conditions, the number of apartment complexes sol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about 60% of the nation's total, at 114,000 units.

 

As of the cumulative total from January to December 2023, the number of apartment complexes sol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114,000 units, which is 59.4% of the nation's total (192,000 units), down 16.2%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the number was Gyeonggi (73,000 units), followed by Seoul (24,000 units), and Incheon (17,000 units), with Gyeonggi down 18.0% and Incheon down 26.1% from the previous year.

 

The ratio of higher education comple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continued to increase, reaching 55.1% in 2023.

 

The ratio of higher education comple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55.1%, 4.6%p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50.5%) and up 1.7%p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was Seoul (62.6%), Gyeonggi (52.4%), and Incheon (43.5%), with Seoul increasing 1.8%p, Gyeonggi increasing 1.6%p, and Incheon increasing 1.7%p from the previous year.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continued to decrease, reaching 14.6 students per teacher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4.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4 was 14.6, 0.7 more than the national average (13.9), and down 1.4%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it is Seoul (15.0 people), Gyeonggi (14.4 people), and Incheon (14.3 people), and Gyeonggi decreased by 3.4% year-on-year, and Seoul and Incheon were the same as the previous year.

 

Looking at population/health, the total fertility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continued to decline to 0.669 people.

 

The total fertility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0.669 people, which is 0.052 people lower than the nation (0.721 people) and a decrease of 0.058 people year-on-year.

 

By city/province, it is Gyeonggi (0.766 people), Incheon (0.694 people), and Seoul (0.552 people), and Gyeonggi decreased by 0.073 people year-on-year, Incheon decreased by 0.053 people, and Seoul decreased by 0.041 people year-on-year.

 

The population growth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ncreased by 0.34%p year-on-year.

 

The population growth rate of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0.35%, 0.26%p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0.09%), and 0.34%p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Incheon (1.29%), Gyeonggi (0.60%), and Seoul (-0.30%) are in that order, and Incheon increased by 0.48%p, Gyeonggi by 0.27%p, and Seoul by 0.40%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continued to increase, reaching 16.7%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of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16.7%, 2.3%p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19.0%), and 0.9%p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Seoul (18.5%), Incheon (16.6%), and Gyeonggi (15.6%) were in that order, and both Seoul and Gyeonggi increased by 0.9%p and Incheon increased by 1.0%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population dependency ratio in the metropolitan area continued to increase, reaching 38.1% in 2023.

 

The population dependency ratio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38.1%, 4.3%p lower than the nation (42.4%) and up 0.9%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Incheon (38.3%), Gyeonggi (38.1%), and Seoul (38.0%) were in that order, and Incheon increased by 1.1%p, Gyeonggi by 0.8%p, and Seoul by 0.9%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terms of growth/innovation in economic performance, the number of startups continued to decrease since 2020, reaching 679,000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The number of startup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ill be 679,000, accounting for 54.8% of the nation (1,239,000), down 7.4%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is Gyeonggi (370,000), Seoul (230,000), and Incheon (79,000), with Gyeonggi decreasing by 7.3%, Seoul by 7.6%, and Incheon by 7.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terms of economic performance,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workplace in 2023 is 34.4%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34.4%, 0.7%p lower than the nation (35.1%), and 0.2%p lower than in 2021.

 

By city/province, Seoul (36.2%), Gyeonggi (34.0%), and Incheon (30.5%) were in that order, and while Seoul increased by 1.9%p compared to 2021, Gyeonggi decreased by 1.2%p and Incheon decreased by 2.9%p.

 

In terms of environment in sustainability, the area of ​​urban parks per 1,000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9.1 thousand m2.

 

In 2023, the area of ​​urban parks per 1,000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is 9.1 thousand m2, which is 3.5 thousand m2 less than the entire country (12.6 thousand m2), and a 1.1%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Incheon (14.1 thousand m2), Gyeonggi (11.2 thousand m2), and Seoul (4.6 thousand m2) were in that order, and while Incheon increased by 3.7%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Seoul decreased by 2.1%.

 

In terms of subjective well-being in the inner world of the life indicator, life satisfaction is 41.3% of metropolitan area residents in 2023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life, a decrease of 1.2%p compared to 2022.

 

In 2023,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metropolitan area residents is 41.3%, 0.9%p lower than the nation (42.2%) and a decrease of 1.2%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is Seoul (41.8%), Gyeonggi (41.3%), and Incheon (39.8%) in that order, and Seoul decreased by 1.4%p and Gyeonggi decreased by 1.3%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le Incheon increased by 0.4%p.

 

In terms of health in personal life, the suicide rate per 100,000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24.8, an 8.8% increase from 2022.

 

The number of people who died by suicide per 100,000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24.8, 2.5 less than the entire country (27.3), and an 8.8%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ncheon (28.8 people), Gyeonggi (25.1 people), and Seoul (23.2 people) are in that order, and Incheon increased by 11.6%, Gyeonggi by 8.7%, and Seoul by 8.4%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stress perception rate is 27.4% in the metropolitan area, with people who think they feel stressed in their daily lives in 2023.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think they feel stressed in their daily lives in 2023 was 27.4% in the metropolitan area, 1.7%p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25.7%) and 2.2%p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was Gyeonggi (27.7%), Seoul (27.1%), and Incheon (27.0%), and Gyeonggi increased by 3.1%p, Seoul by 1.4%p, and Incheon by 0.7%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think their subjective health level is good in 2023 is 49.8%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think their subjective health level is good in 2023 was 49.8% in the metropolitan area, 2.2%p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47.6%) and 1.8%p lower than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Seoul (53.7%), Incheon/Gyeonggi (47.4%), and Seoul decreased by 0.8%p and Gyeonggi decreased by 3.1%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le Incheon increased by 0.6%p.

 

The obesity prevalence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31.6%, continuing an upward trend since 2020.

 

The obesity prevalence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31.6%, 2.1%p lower than the nation (33.7%) and 0.3%p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Incheon (34.5%), Gyeonggi (33.0%), and Seoul (28.8%), and Incheon increased by 1.9%p and Gyeonggi increased by 1.1%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le Seoul decreased by 1.4%p.

 

Looking at education/train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4 was 22.3, continuing a downward trend since 2021.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4 was 22.3, 1.2 more than the nation (21.1), and a 1.8% de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was Gyeonggi (22.7), Incheon (22.2), and Seoul (21.8), with Gyeonggi decreasing by 2.6% from the previous year, while Incheon increased by 0.5%.

 

The average monthly private education cost per person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512,000 won, exceeding 500,000 won for the first time.

 

The average monthly private education expenses pe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ere 512,000 won, 78,000 won more than the national average (434,000 won), and a 5.3%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was Seoul (628,000 won), Gyeonggi (469,000 won), and Incheon (424,000 won), and Seoul increased by 5.4%, Gyeonggi by 5.2%, and Incheon by 9.8%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terms of personal life, the unemployment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2.7%, similar to the national unemployment rate.

 

The unemployment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2.7%, similar to the national unemployment rate (2.7%), and a 0.3%p de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Incheon (3.2%), Seoul (2.7%), and Gyeonggi (2.6%) were in that order, and Incheon and Gyeonggi both decreased by 0.1%p and Seoul by 0.7%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ratio of irregular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4 was 36.6%, 1.6%p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The ratio of irregular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4 was 36.6%, 1.6%p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38.2%), and increased by 2.2%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Incheon (39.0%), Seoul (38.3%), and Gyeonggi (34.9%) were in that order, and Incheon increased by 2.6%p, Seoul increased by 3.4%p, and Gyeonggi increased by 1.4%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Looking at income/consumption, the ratio of people satisfied with their consumer life in 2023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metropolitan area, reaching 21.9%.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are satisfied with their consumption in 2023 is 21.9% in the metropolitan area, 0.7%p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21.2%), and 2.7%p higher than in 2021.

 

By city and province, it is Seoul (23.5%), Gyeonggi (21.3%), and Incheon (19.6%), and Seoul increased by 3.0%p, Gyeonggi by 2.7%p, and Incheon by 1.7%p compared to 2021.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feel that their subjective income level is sufficient compared to their living expenses in 2023 is 14.8%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percentage of household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ho feel that thei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is sufficient is 14.8%, 1.1%p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13.7%), and 2.1%p higher than in 2021.

 

By city/province, Seoul (15.5%), Gyeonggi (14.5%), and Incheon (13.2%) were in that order, and Seoul increased by 2.8%p, Gyeonggi by 1.9%p, and Incheon by 0.2%p compared to 2021.

 

In terms of culture/leisure, the satisfaction rate for leisure activities was 35.6%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exceeding 30.0% for the first time.

 

The percentage of people satisfied with their personal leisure activ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35.6%, which was 1.3%p higher than the nation (34.3%) and a 7.5%p increase compared to 2021.

 

By city/province, Seoul (37.5%), Gyeonggi (34.9%), and Incheon (32.9%) were in that order, and Seoul increased by 8.6%p, Gyeonggi by 7.1%p, and Incheon by 6.0%p compared to 2021.

 

Looking at housing, the housing rental price index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90.2, continuing a downward trend since 2021.

 

The housing rental price index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90.2, 2.3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92.5) and 5.5 lower than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was Seoul (91.0), Gyeonggi (90.2), and Incheon (88.1), with Seoul down 5.0, Gyeonggi down 5.7, and Incheon down 6.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housing monthly rent price index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105.2, continuing an upward trend since 2020.

 

The housing monthly rent price index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105.2, 1.2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104.0), and 1.4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Gyeonggi (106.0), Incheon (104.8), and Seoul (104.2) were in that order, and Gyeonggi increased by 1.3, Incheon by 0.6, and Seoul by 1.8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terms of family/intimacy in communal living, the ratio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29.5%, up 2.9%p from 2022.

 

The ratio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29.5%, 0.6%p lower than the nation (30.1%) and up 2.9%p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province, Seoul (48.8%), Incheon (26.2%), and Gyeonggi (20.5%) were in that order, and Seoul increased by 3.1%p, Incheon by 3.6%p, and Gyeonggi by 2.7%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ratio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34.3%,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f 35.5%.

 

The ratio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34.3%, 1.2%p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35.5%) and increased by 0.9%p year-on-year.

 

By city and province, it was Seoul (39.3%), Incheon (31.8%), and Gyeonggi (31.2%), with Seoul increasing by 1.1%p year-on-year, Incheon by 0.8%p year-on-year, and Gyeonggi by 1.0%p year-on-year.

 

The number of childcare facilities per 1,000 infa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17.3.

 

The number of childcare facilities per 1,000 infa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17.3, 0.1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17.4), and increased by 0.6% year-on-year.

 

By city/province, Gyeonggi (17.8 places), Seoul (16.8 places), and Incheon (16.0 places) were in that order, and Seoul, Incheon, and Gyeonggi all increased by 0.6% year-on-year.

 

The crude marriage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4.0 cases, up 2.6% from 2022.

 

The crude marriage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4.0 cases, 0.2 cases higher than the nation (3.8 cases), and increased by 2.6% year-on-year.

 

By city/province, Gyeonggi (4.0 cases), Seoul/Incheon (3.9 cases) were in that order, and Seoul increased by 2.6% year-on-year, Incheon increased by 5.4%, and Gyeonggi remained the same as the previous year.

 

The crude divorce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1.7 cases, the same as in 2022.

 

The divorce rat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1.7 cases, 0.1 case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1.8 cases), and the same as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was Incheon (2.1 cases), Gyeonggi (1.8 cases), and Seoul (1.3 cases), and Incheon and Gyeonggi were the same as the previous year, and Seoul decreased by 7.1%.

 

The ratio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continued to increase, reaching 19.9%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The ratio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19.9%, 2.6%p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22.5%), and 0.8%p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was Incheon (21.1%), Seoul (19.9%), and Gyeonggi (19.6%), and Incheon increased by 0.5%p, Seoul by 0.7%p, and Gyeonggi by 0.9%p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Looking at civil society, the number of beneficiaries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has slowed down to 1,052,000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The number of beneficiaries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1,052,000, which is 41.9% of the nation (2.51 million), and a 4.7%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is Gyeonggi (461,000), Seoul (421,000), and Incheon (171,000), and Gyeonggi increased by 6.2%, Seoul by 3.2%, and Incheon by 4.9%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volunteer participation rate of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9.8%, a 2.2%p increase from 2021.

 

The volunteer participation rate of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9.8%, 0.8%p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10.6%), and a 2.2%p increase compared to 2021.

 

By city and province, it was Gyeonggi (10.1%), Seoul (9.6%), and Incheon (8.7%), and Gyeonggi increased by 2.3%p, Seoul by 2.2%p, and Incheon by 1.2%p compared to 2021.

 

As for the donation rate, 1 out of 4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have donated cash or goods.

 

The donation rate of res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was 25.0%, 1.3%p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23.7%), and a 2.3%p increase compared to 2021.

 

By city/province, Seoul (26.5%), Gyeonggi (24.3%), and Incheon (23.1%) were in that order, and Seoul increased by 2.1%p, Gyeonggi by 2.5%p, and Incheon by 1.7%p compared to 2021.

 

The participation rate i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as 7.8% of metropolitan area residents in 2023 who participated in and worked i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e participation rate i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mong metropolitan area residents in 2023 was 7.8%, 1.1%p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8.9%), and 0.2%p higher than 2021.

 

By city/province, Incheon (8.4%), Gyeonggi (8.3%), and Seoul (7.0%) were in that order, and Seoul increased by 0.6%p compared to 2021, while Incheon decreased by 0.2%p.

 

In terms of safety in the environment,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79,703, which is about 50% of all traffic accidents.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3 is 79,703, which is 47.1% of the entire country (169,359 cases), and increased by 1.8%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y city and province, it is Gyeonggi (45,457 cases), Seoul (27,511 cases), and Incheon (6,735 cases), and Gyeonggi increased by 1.6%, Seoul by 2.6%, and Incheon by 0.4%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1/1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