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환경
인천형 기초학력 ‘더블플레이’ 및 초등 교육·교과 연구지원단 운영
기사입력: 2025/02/13 [14:36]  최종편집: ⓒ ebreaknews.com
박상도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심층진단으로 맞춤형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지도 시스템(더블플레이) 본격 운영 (사진제공:인천시교육청)  © 박상도 기자

(브레이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인천시교육청이 3월부터 인천형 기초학력 심층진단-지도 시스템인 ‘더블플레이(Double play)’를 본격 운영한다.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더블플레이는 학생별 학습 어려움을 심층진단하고 맞춤형 지도방안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2024년 개발 및 시범 운영을 거치며 타당도를 높였다. 

 

국어(난독), 수학(난산)영역의 읽기유창성 검사, 한글 해득수준 검사, 연산유창성 검사 등을 제공하며, 검사 결과에 따른 지도 지침을 제공한다. 

 

시교육청은 2월 중 더블플레이 활용 방법과 진단 시 주의 사항이 담긴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며, 올해 영어와 정서‧행동 영역 개발을 시작으로 시범 운영 등을 거쳐 순차 적용할 계획이다.

 

인천시교육청은 2023년부터 경인교육대학교를 인천광역시교육청기초학력지원센터로 지정하고 기초학력 심층진단 연구 및 자료개발, 기초학력전문교원양성, 난독증‧경계선지능 학생 맞춤형 지원, 찾아가는 예비교원 학습튜터링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인천시교육청이 13일, 초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2025학년도 초등 교육·교과 연구지원단’ 22팀을 선정하고 연구지원단 운영 및 현장 지원 방안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연구지원단은 인천교육정책 실현과 2022 개정 교육과정 안착을 위해 초등 교육·교과 분야에 전문적인 연구 활동을 실천하고, 현장 지원 방안을 모색하여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정된 연구지원단은 1년간 교육과정·수업·평가, 깊이 있는 학습, 학교자율시간, 인성교육, 기초학력, 놀이교육, 방송·미디어교육, 교육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진행하며, 연구 결과 공유를 위해 자료 개발, 수업공개, 연수, 워크숍 등 현장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도성훈 교육감은 “학교 현장과 긴밀하게 소통하여 현장 지원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고, 학생들이 배움과 성장에 전념할 수 있는 학교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comprehension.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cheon-type basic academic ability ‘Double Play’ and operation of the elementary education and curriculum research support group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ill fully operate ‘Double Play’, an Incheon-type basic academic ability in-depth diagnosis-guidance system, starting in March.

 

According to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Double Play is a system that deeply diagnoses learning difficulties for each student and provides customized guidance methods, and its validity was improved through development and pilot operation in 2024.

 

It provides reading fluency tests,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level tests, and calculation fluency tests in the areas of Korean (difficulty reading) and mathematics (difficulty arithmetic), and provides guidance guidelines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plans to distribute a manual containing methods of utilizing double play and precautions for diagnosis in February, and plans to apply it sequentially after starting with the development of English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this year and conducting pilot operations.

 

Starting in 2023,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designated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s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Basic Academic Support Center and is operating in-depth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is research and data development, basic academic ability specialized teacher training, customized support for students with dyslexia and borderline intelligence, and on-site tutoring for prospective teachers.

 

In addition,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on the 13th that it selected 22 teams for the ‘2025 Elementary Education and Curriculum Research Support Group’ targe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discussed the operation of the research support group and on-site support measures.

 

According to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earch support group carries out specialized research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education and curriculum fields and explores and disseminates on-site support measures in order to realize Incheon education policies and stabilize the revised 2022 curriculum.

 

The selected research support group will conduct research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curriculum, classes, and evaluation, in-depth learning, school autonomous time, character education, basic academic ability, play education, broadcasting and media education, and educational theater for one year, and plans to strengthen on-site support such as data development, class opening, training, and workshops to share research results.

 

Superintendent Doh Seong-hoon said, “We will do our best to communicate closely with schools to promote customized on-site support policies and create a school culture where students can focus on learning and growth.” 

 

ⓒ ebreak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1/2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